[최명형T] [Reading Mind] 영어독해문제 접근방식...!!!
게시글 주소: https://o.orbi.kr/0004733526
예전에 법 공부를 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러면서 Legal Mind라는 말을 접했지요...
어떤 특정 사례를 놓고 이해당사자들 간의 법률적 관계를 추론할 때...
일반인들과는 다른 법이라는 관점에서 사고하는 방식을 이야기합니다.
영어독해에도 비슷한 것이 있는 것 같습니다...
Reading Mind...문제화된 영어독해문제를 접할 때...어떠한 관점에서 접근할 것인지...
이 접근 방식을 적절하게 취한다면...완벽한 성적표를 거머쥘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서 올해 N제 1회 16번 문항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On our own level it is generally difficult to make a complete divorce between objective reality and our linguistic symbols of reference to it; and things, qualities, and events are on the whole felt to be what they are called. For the normal person every experience, real or potential, is saturated with verbalism. This explains why so many lovers of nature, for instance, do not feel that they are truly in touch with it until they have mastered the names of a great many flowers and trees, as though the primary world of reality were a verbal one and as though one could not get close to nature unless one first mastered the terminology which somehow magically expresses it. It is this ____________ which removes language from the cold status of such purely and simply symbolic systems as mathematical symbolism or flag signaling.
① ability to communicate through verbal language
② slow and long process of language development
③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④ constant interplay between language and experience
⑤ symbolic and unifying power of a common language
마지막 문장에 빈칸이 있고... It is this _____ which 구조가 나와있네요...
그리고 언어를 수학적 상징과 같은 순수하고 단순한 상징체계의 차가운 상태로부터
제거한다라고 하고 있습니다.
즉 언어가 단순하고 무미건조한 상징체계가 아니게끔 만드는 것을 찾으라는 이야기이지요...
선택지 키워드를 확인해보니까
1. communicate / verbal language
2. process / language development
3. language / culture (관계이기 때문에 관계의 대상이 키워드가 됩니다)
4. language / experience (상호작용이기 때문에 역시 두 가지 키워드가 나옵니다)
5. common language (가장 중요하지요? 추가하자면 unifying정도겠습니다)
그리고 빈칸 앞문장을 먼저 확인하는데 상당히 기네요...
그런데 for instance가 나와있습니다...
예시 안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가 용어를 마스터하지 않으면 자연에 가까이 다가갈 수 없다라고
느낀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용어를 언어로 자연에 가까이 다가가는 것을 경험으로 문맥추론해낼 수 있는 경우도
있겠지만...상당한 추론능력을 요하지요...
(물론 중요한 것은 독해문제이고 객관식이기에 추론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모르겠다 싶으면 포기하고 제일 앞으로 갑니다.
첫 문장에서 objective reality와 linguistic symbols사이의 divorce가 어렵다라고
일반적 진술을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객관적 현실을 선택지에서 받아줄 수 있는 키워드는 경험이겠구나 추론하고
분리가 어렵다고하고 있기에 상호작용 내지는 관계를 추론하여
"언어"와 "경험"을 키워드로 잡을 수 있습니다.
또는 모르겠다면 그 다음 문장으로 넘어갑니다. 답의 근거는 여기저기 산재해 있을 수 있으니까요.
평범한 이들에게 every experience는 verbalism(밑에 언어적 표현이라고 나와있네요)으로
saturated되어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문제를 풀 당시 saturated라는 어휘의 뜻을 모르더라도
with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아 두 가지의 긍정적 관련성을 언급하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는 experience와 verbalism이기에...
선택지에서 experience와 language를 잡아낼 수 있습니다.
요점은!!!
추상적이거나 어려운 지문은 대부분 같은 말의 반복이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입니다...
무슨소리지? 하는 생각이 들만한 글이라면
필자도 애초에 특정한 개념의 이해시키기 위해 설명을 반복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서로 같은 대상을 지칭하는 것을 유추하는 것만으로도 독해력에 엄청난 도움이 됩니다^^
뜨거운 여름 100일 남짓 남은 시험을 준비하는 모든 오르비언들 화이팅!!!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개시끄러워 아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20년 이후에 시나리오가 출제된 적이 있나요? 뭔가 못 본 거 같은디
-
좀 많은데… 1. 문과반은 한개인가요? 2.세지 사문할 예정인데 선생님이나 컨텐츠...
-
살려줘
-
궁금합니다. 30장 확정인지 아니면 못 받을 수도 있는지..
-
아 오늘은 행복 국어하려고 문학 꺼냈는데 시나리오 너무 길고 어렵구나...
-
갤럭시탭 샀다 2
-
업적달성모음 2
2506 영어 만점 2405 2506 2407 2509 2410 2511 생2 만점...
-
엄청나다
-
왜 1컷 47에 만백 99에요? 기억상으로는 46에 100이였던거로 기억하는데
-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성균관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성균관대학생,...
-
나 좀 녹여줘..
-
더프 경제 인구수나 함 보자
-
혹한기훈련인가
-
아이패드 사면 3
생투칼럼쓸게요 그때까지만 기다려줘요
-
전 6시간 7시 반 취침 ~ 1시 반 기상.
-
아시타니 나레바 바이바이시나쿠챠 이케나이 보쿠다 하이니 나리소-나 마도로무 마치오...
-
7시간을 자도 0
7시간을 자도 일어날때는 머리가 겁나 아프네
-
아빠가 나 7살 때 초등학교 보내려 햇는데가 엄마가 반대햇엇대 작수 사탐 꿀이엇을때...
-
진짜 이정도면 둘이 합쳐서 수능 국어 점유율이 어떻게되는지 궁금하네…
-
안녕하세요 :) 디올러 S (디올 Science, 디올 소통 계정) 입니다....
-
인난냐 3
ㅅ
-
면접으로 역전은 어려운 성적인데 편입준비나 얌전히 할걸 그랬나 괜히 긴장되고 으악
-
시대인재 장학금 1
선착선발은 장학금 받을 수 없나요? 국영수탐 1231인데 원래 안 주는건가요
-
어닝 좋게 나왔나보네 레버 탔으면 +44% … 저거 작년부터 거의 8배 올랐네 ㄷㄷㄷ
-
부엉이자체가귀여움
-
싹 사라진줄 알앗어 근데 그냥 수능공부를 이어나갈 동력이 없던거더라 1년동안 쉬니까...
-
언미영생지 23144 백분위. 94 87 62 64 대치 시대 재종이랑 강대스투 둘...
-
ㅇㅂㄱ 2
도착
-
사문지구 응시해서 생명 버린걸 후회한다했다가생명 사문 응시했는데 사문 백분위...
-
안녕잘자여 2
앞으로강아지가될게요
-
허수라 수능 못본것도 서러운데 돈도 뜯기고ㅜㅜ
-
여캐일러 투척은 1
그만해야겠다 꾸준글 많아서 귀찮기도 하고 반응도 그저 그래서... 가끔 생각나면...
-
?
-
홍익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홍대25][수강신청 기초가이드]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홍익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홍익대생, 홍익대...
-
서버이상해 0
-
진짜네.. 김범준 헬스터디
-
얼버기 2
출근 싫어…
-
얼버기 5
피곤함
-
아니왜 평소보다 2분 빨리오는데
-
강아지고양이 3
귀여운 강아지
-
'ㅓㅏㅐ, 3
ㅓㅓ,ㅓㅏㅣㅣㅣㅏㅣㅏㅏㅏㅣㅏㅣㅏㅣㅣ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ㅓㅏㅏㅓㅣㅓㅏㅣㅓㅓㅏㅣㅐ...
-
어차피 ai가 특이점 시대 만들어줄건데 한의대 가겠다고 기를 쓰고 공부할 이유가...
-
이게 사람 사는 곳이냐 그냥 빙하기야 이건
-
트럼프 "24시간 내 中과 대화…합의못하면 상당한 관세" 1
[워싱턴=뉴시스] 이윤희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에 10%...
-
누가 더 좋음?
-
집와보니까 피멍들어있네... 인지하니까 갑자기 아프기 시작
좋은 글 감사합니다.
모든 전문 서적을 읽을 때 적용 가능한, "보편적이면서 실전적인" 독해법으로, 정말 유용하지요 ㅎㅎ
수험생분들이 "재진술, G-S, 대용어과 같은 독해이론들의 형성 이전의 본질"을 이 글에서 배울 수 있었으며 좋겠습니다.
추천 꾹 누르고갑니다~
이걸 구체화시킨게 리로직이죠 ^^
리로직에서 배웠던 내용이랑 똑같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