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지 장점 추천 (+event)
게시글 주소: https://o.orbi.kr/00036659999
단점 얘기하시는 게 더 쉬울 줄 알고;;
적은건데 ^^;;
장점도 이벤트하겠습니다.
댓글에 장점 적어주신 분들 중 3분 뽑아서 스벅 기프티콘 쏠게요 :)
현주간지 뿐만 아니라
시중에 있는 주간지들 모두요.
정확히는 장단점 모두를 듣고 싶은 거에요.
그럼 어떤 부분들을 보완해나갈지 생각해보려고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붙은 게 8칸밖에 없구나...
-
인기학과는 전과가 어려워질 수도 있지 않나요?
-
상지한 최초합 ㅇㅈ 64
-
옛한글 증말.. 4
옛한글 읽지를 못하겟는데 다들 어케하시나요..
-
학벌 수직상승 12
연대 화학과>카이스트 최초합 (아까건 개인정보 올려가지고)
-
15명 못채워도 알아서 끊나요?
-
이과한테 잘맞는 사탐 13
추찬 부탁드려요.. 생윤하고싶은데 글많고 애매한게 너무 싫어서..
-
카이스트 최초합 4
^^
-
진짜 조발 안 하려는건가;; 원래 이것보다 항상 빨리 나왔는데 ㅜㅜ 피말리네요
-
생윤 지엽 많음? 10
작수 지옥이었다는 얘기가 많네.. 대비가 안됨? 이럼 그냥 경제나 정법할거같은데
-
저 예비4번인데 앞에 분들 상지대 등록하시나요??
-
궁금합니다
-
10시 약속인데 1
10시 반까지 안와버리는 독함 ㄷㄷ.. 에휴다노
-
많이 한건가요?
-
ㅇㅇ
-
한상 마렵네요
-
3일남았다 0
ㅆ 바
-
건국대는 생과대, 동국대는 기계공 둘 다 붙을 것 같습니다 전자공이 목표라 어디를...
-
카이식 504점에 추합후보 받았는데 가능할까요? 추합 몇배수인지도 모르겠네
-
에휴 잘못 사겻나
-
10시 약속인데 0
무친련
-
시간표 어때? 하고 2전공 4교양임 이짤 올렸는데 0.5초만에 음란 외설물이라고...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졸업식예행연습중 5
집에보내줘
-
ㅋㅋㅋ
-
으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 수열 할 만해졌다고 좋아했는데 이게 뭐냐
-
숭실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숭실대 25][학점 챙기기]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숭실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숭실대생, 숭실대...
-
공군 헌급박아서 갈수있음 공부는 게속 하고있는데 얼마 후에 공군 지원할 날짜라...
-
동국대 발표 4
5시라네요..
-
ㅆㅂ 발표 해달라고
-
ㅎㅎ;
-
어 그래
-
한의뱃 득템 7
미친
-
시발점 푸는데 거기만 왜케 헷갈리는지...나머지는 다 잘 하는데 마플이라더 풀어볼까여?
-
서울대는 과탐 동일과목 금지를 폐지해라
-
이거 무슨 담배꽁초로 총쏘면 사람이 죽을까 이런거 왤케 재밌음? 0
크허헣 역시 미국!
-
07 카이스트ㅇㅈ 17
안갈거지만 한잔해 나도 드뎌 뱃지하나 다는구나
-
예비자 26번떴네요... 이전 추합 수 놓고 봤을 때 35명 이상은 돌았으니 붙을...
-
상지한 최초합 14
다군 최초합!! 점수는 기억이 안나요ㅠㅠ 98 98 1 97 99 한국사 2입니다
-
빨리
-
헬스장 도착 0
나는야 힘세고 강한 아침!!
-
쌈무나보고가라
-
과탐 0
연세대 26수능 과탐3%가산 확정인가요? 아니면 모집요강때 바뀔 수도 있나요
-
카이 떴다 10
이게 최초합되네
-
두두두두두다다다ㅏ닫다 약간 이런 느낌
-
뭐지
-
와 개꼴리네 2
일러 중에서 가장 이쁜듯요 이런 사람 만날 수 있을까
-
카이 2
떨어졌다ㅠ_ㅠ
낯선지문
이게 주간지의 본질이고 가장 큰 장점아닐가여
간쓸개 장점
이감 사면 딸려온다
단점
이감 사려면 딸려온다
1. 매일 매일 일정량을 꾸준히 풀 수 있다.
국어는 다들 아시다시피 감 유지가 매우 중요한 과목이라서...
2. 선생님들의 풀이법을 바로 체화 가능하다.
매일 정해진 양을 푸는데다가
선생님들 주간지는
(대표적으로 현주간지)
선생님들 피드백을 바로바로 적용할 수 있어서 정말 베스트
국어 풀이법 체화하는 것도 일인데
선생님들이 발간하시는 주간지는
특히 그런 해설쪽에서
수강생들에게 바로바로 피드백이 대강 된다는 점이 정말 큰 장점이에요.
그게 체화시간을 정말 크게 줄여주니깐...
그리고 대부분 주간지를 푸는 가장 큰 이유는
평가원 지문을 푸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평가원 지문은 익숙하다는 단점 때문에 그런 거 같아요. 익숙한 지문을 푸는게 의미없지는 않으나, 결국 내가 시험장에서 보는 건 낯선 지문일텐데 그걸 대비해서 간쓸개와 같은 문제집을 풀다보면 어떤 느낌으로 풀어야 하는지 감도 확실히 오니깐요.
낯선 상황에 대비하는 능력?
그런 것도 크겠네요
기프티콘 당첨!! 쪽지로 핸드폰번호 보내주세요 ^^*
공부를 하루에 어떻게 얼만큼 할지에 대해서 정해져있다는 것이 가장 큰 메리트 아닐까요?
매일매일 정해진양을 풀 수있다는게 가장 큰 장점 같아요!
굳이 매일 국어를 해야될까..싶다가도 밀리긴 싫으니까
뭔가 억지로라도 하는 느낌!
또 주간지는 다 풀때쯤~되면 오니까
국어 컨텐츠 걱정을 안해도 되어서 또 좋은것 같아요
주간지 없었으면 아 이책끝나고 뭐하지...매번 고민했을듯
그리고 매주 한권씩 끝나는 형태다보니
한권한권 끝날때마다 성취감도 더 커서 좋아요!
단점이라하면,,,아무래도 매일 해야한다는 압박감이 조금은 있다보니
푸는 사고방식을 고쳐나가는게 아닌
그저 기계적으로 문제를 풀어내는것에만 집착하게 될 수도 있겠다..라는게 있을것 같아요
ㅇㅈ 지나가다가 고개 끄덕거리구 가여
기프티콘 당첨!! 쪽지로 핸드폰번호 보내주세요 ^^*
장점이라면 꾸준히 일정량의 학습을 할 수 있다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만약 믿을만한 주간지가 모두 과목별로 있다면, 과목 밸런스와 학습의 최저치를
달성하는데에 도움이 되겠죠.
단점은 밀리기 시작했을 때 답이 안보일 수 있다는거 ?
어렸을 때 구몬 눈높이 이런거 밀리면 노답이었던 것 처럼..
그리고 그렇게 되면 문항을 하나하나 생각하면서 안보고, 기계적으로 양치기만 하게되는 경향이 있더라구요. 그래서 양도 너무 많으면 부담이되고.. 적절하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대부분 주간지들에서 기출문항을 많이 싣는데, 저는 이것도 단점이라 생각합니다.
주간지'만' 보는 학생들은 생각보다 별로 없어서요..
각 선생님들만의 풀이법이나 분석법을 다시 보는건 장점이지만
기존에 기출문제집도 보고, 다른 인강도 보고, 학교나 학원에서 또 풀라고 하고..
이러면 너무 자주 봐서 내가 알고 푸는지 그냥 외워서 푸는건지 모르는 지경이 오거든요. 괜히 나무야 미안해가 되는 느낌?
기존 시중 문제집에서 못보던 자작문항을 풀어볼 수 있다는 것은 또 주간지들의 장점이라 생각합니다.
주간지들의 가장 뚜렷한 장점 : "좋은 질"과 "적당한 양"의 선별 문제를 "매일 꾸준히" 제공한다는 점이라고 생각해요.
1. 자신의 독해법(도구, 스킬 등)을 "양질의 지문"에 적용하는 연습을 통해 보다 견고하게 체화할 수 있어요.
2. "적당한 양"의 문제를 "매일 꾸준히" 풀면서, 감을 계속 유지할 수 있어요. (이 점은 수능이 가까울수록 더 부각되는 장점인 것 같아요.)
주간지는 현주간지 간쓸개 인강민철 하고 있는
저는 올해 수능 국어 만점을 위해 달리는 중 입니다. (간쓸개는 오늘부터 합니다)
주간지를 하기 전 평가원 7개년 릿밋딧(재본) 해서
한번씩은 다 풀어보고 주간지를 시작했습니다
장점은
솔직히 주간지는 꼭 안해도 됩니다. 어차피 문제는 평가원이 내니깐..
대신 어떤 지문이 나올지 모르니깐 부가적으로 하는 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주간지는 본인이 국어공부를 매일 하기 어렵다고 생각이 들거나
끈기가 부족한 친구들? 혹은 국어공부를 너무 하기 싫은 친구들에게는 주간지가
좋은 책 일 거 같아요. 저도 독학을 하고 있어서
매일 하기 어렵다고 생각 할 때가 있습니다 (수학, 과탐 할 때) 그래서 저 같은 경우는
학원을 안 다녀도 숙제를 내주신거처럼 매일 꾸준히 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매주 한권 씩 끝낼 때마다 한 주는 알차게 보냈다?
매일 국어 공부를 했다. 라고 생각이 들더라고요!
단점은 밀리면 답이 없습니다. 밀리면 하루에 한 두지문씩 혹은 다섯 지문 씩
늘어나서 나중에는 하기가 싫어지고 책도 보기가 싫어집니다. 이래서 주간지는
밀리면 큰일납니다,, (2월에 1월 현주간지 받고 느꼈습니다) 그리고 사람이 주기적으로
하는 패턴이 있는데 그게 깨진다면 그걸 복구하는데도 시간이 걸리듯 국어 공부도 마찬가지 입니다 하루를 안하고 이틀 열흘 나흘 순식간에 지나갑니다. 지나가는 시기에도 국어를 놓고 살면 그 결과는 본인만 알겠죠..? 주간지를 하다보면 자기가 이것만 풀고 다음 과목으로 넘어가자? 란 마인드가 커질 거 같아요!! 일정 양이 정해져있지만 다른 과목이 부족해서 국어 공부를 소홀하게? 예를 들자면 문제 풀고 답만 맞추고 분석 안하고 넘어가는?
이렇게 생각 할 수도 있을 거 같아요.
기프티콘 당첨!! 쪽지로 핸드폰번호 보내주세요 ^^*
익숙한 지문은 외우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강사님들이 가르쳐준 방식 즉 글을 읽으면서 해야되는 생각들을 낯선 지문들을 보면서 체화? 하기위한도구로 사용해야한다고 생각해요
단점은 지문이 흔히들 알다싶이평가원처럼 유기적인 지문을 많이 생산하기 힘드므로 평가원에서 했던 생각의 틀이 주간지에 낯선 지문들에서는 잘 먹히지 않을 수도 있다 정도 인것같아요!
2가지가 가장 큰 것 같아요. (비문학)
1. 해설이 부실하다. 지문독해과정에서 가져야할 사고방식이나 강박 혹은 논리 틀을 반복적으로 언급하면서 잡아줘야하는데 그 부분이 부족하다
☆☆2. 질 좋은 고난도 지문이 부족하다. 쉬운 지문이 많아 상위권 학생들의 실력 유지에 별 도움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