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기출문제집은 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orbi.kr/00031140351
대단한 기출분석법을 말하는데, 정작 그 사람의 기출해설이 엉터리라면 신뢰할 수 없겠죠? 기출분석의 시작은 기출문제를 정확하게 풀고 이해하는 거니까요.
그래서 제가 전기추1, 2에서 가장 신경쓰고 있는 부분이 바로 정확한 해설입니다. 그래야 어떤 패턴에 속하는지 제대로 파악할 수 있고, 유사한 패턴의 문제가 나왔을 때 쉽게 풀 수 있으니까요.
이번 칼럼에서는 쉬운 문제를 정확하게 푸는 사례를 보여드리겠습니다. 2014학년도 수능 A형 16번 문제(분광 분석법 지문)인데, 잘못된 해설이, 왜 틀렸는지 고민해보세요.
[지문]
1859년 ㉠키르히호프는 분광 분석법을 천문학 분야로까지 확장하였다. 그는 불꽃 반응 실험에서 관찰한 나트륨 스펙트럼의 두 개의 인접한 밝은 선과 1810년대 ㉡프라운호퍼가 프리즘을 이용하여 태양빛의 스펙트럼에서 발견한 검은 선들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태양빛의 스펙트럼에 검은 선이 나타나는 원인을 설명할 수 있었다.
[문제]
윗글을 바탕으로 할 때, ㉠의 업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④ 프리즘을 이용하여 태양빛의 스펙트럼을 얻는 방법을 창안하였다.
[잘못된 해설]
④는 틀렸다. 키르히호프가 아니라 프라운호퍼의 업적이기 때문이다.
.
.
.
만약 위 해설이 왜 틀렸는지 모르겠다면, 지금부터 정말 집중해서 읽어주세요. 해설하는 선생님들도 실수하게 만든 문항이니, 정신 똑바로 차리고 봐야 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제가 문제를 살짝 바꿔보겠습니다.
[문제변형]
윗글을 바탕으로 할 때, ㉡의 업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④ 프리즘을 이용하여 태양빛의 스펙트럼을 얻는 방법을 창안하였다.
어떤가요? 이렇게 변형했을 때, ④는 정답인가요?
[잘못된 해설]대로라면 ④는 위 문항의 정답이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지문을 잘 보세요. 프라운호퍼가 프리즘을 이용하여 태양빛의 스펙트럼을 얻는 방법을 '창안'(처음으로 생각해 냄)했다는 표현이 어디에도 없어요. ‘1810년대 프리즘을 이용하여 태양빛의 스펙트럼에서 검은 선들을 발견’한 사람이 프라운호퍼라고 적혀 있을 뿐입니다. 다시말해, ④가 누구의 업적인지는 지문으로부터 알 수 없습니다. 비유하자면, 프라운호퍼의 실험은, 거인(=④의 업적을 세운 사람)의 어깨에 올라서서 더 넓은 세상을 바라본 거죠. (이 비유는 뉴턴이 말해서 유명해졌죠? 태양빛 스펙트럼 실험도 뉴턴이 1666년에 했습니다.)
생각보다 간단하죠?
만약 잘못된 해설로 공부했다면, ④의 출제의도가 행위주체를 ㉠에서 ㉡으로 바꿔치기했다고 잘못 이해하게 될 겁니다.
하지만 정확한 해설로 공부하고 나면, ④는 같은 문항의 선지 ③과 출제의도가 똑같다는 것까지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선지 ③에 대한 해설은 생략합니다. 이거 틀리는 해설서는 없을 거예요.)
그러면 이제 여러분들이 갖고 있는 해설서를 꺼내서 2014학년도 수능 A형 16번 문제해설(분광 분석법 지문)을 찾아보세요. [잘못된 해설]처럼 설명해놨다면, 다른 해설도 의심하면서 읽길 바랍니다. 얼렁뚱땅 해설한 문제가 분명 더 있을 겁니다.
덧: 2012학년도 수능 30번(전기추1, 111강), 2013학년도 수능 23번(전기추2, 1강[무료]) 등에 대한 해설도 얼렁뚱땅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면으로 설명하기에 너무 길기도 하고, 영상으로 다 만들어둔 것을 또 설명하기도 귀찮아서 dDNA에 언급만 해둡니다.
이상 오르비클래스 강사 이해황이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래봬도 남자임 3
키도 작은..
-
꼴보기싫음 정작 들어가보면 어그로성글 시간낭비만 ㅈㄴ시키고 보나마나 현생에서 산소낭비도 ㅈㄴ할듯
-
고3때 많이 올려봤자 한계가 너무 분명해보임..ㅠ 그리고 수시랑 정시 같이 챙기는...
-
ㅈㄴㅂㅇㅇ닉하고 돌아다니긴할듯
-
기출변형임
-
수험생활할땐 참 재미없던 공부가 대학만 들어가고 할거없어지면 재밌어지는데 저만 그런가요
-
우린 다 깠었는데 오래사귄것도 아님 ㅋㅋㅋㅋㅋ 난 이해불가…
-
본인 초5아래로 기억 아예없음 초등학교때 기억이니 많이 휘발됐을수 있고 기억나는대로...
-
내가 인프피라 그런거 아님
-
존잘존예밖에없네 2
그냥잘걸 가만히 있다가 더 슬퍼졌어
-
나는 별볼일없는 22살 노총각에 현재 수중에 푼돈밖에업는 돈없는남자인데 나랑...
-
미안 제목은 어그로고 물리는 역학만 두번하고 지구는 한번 대충 돌렸는데 그냥 사탐런...
-
참 저능부엉이임? 옹고집전이 따로 없네
-
집에가지말라하면 뭐하냐 12
집인데 이미
-
좀 사라 임마
-
대학은 갔는데 할거없어서 ebs수특 수학 풀고있는사람 손
-
10학점이면 공부하는데 무리려나
-
반영되서 나와 어짜피 듄 안봐도 돼 특히 수학
-
ㄱㅁ함 2
나의 오래된 스윾치를 5년만에 찾아서 요즘 mk8dx 재밌게 하고 있음
-
돈관련 ㄱㅁ 2
난 ㅈㄴ맛있는 펩시제로 라임을 1플1으로 살수있늣 2329원의 잔고가있음
-
목소리가 진짜 변성기안온 초등학생목소리임 남성호르몬이 부족한것도아니고 골격 꽉꽉...
-
. 아무리 생각해도 잘난 부분이 하나도 없다 ㅜ
-
이게 유행인거야 베베
-
생정생정생정
-
축제때 한 거 재탕이긴 한데 밑글 여르비 보고 나도 해봄
-
돈자랑 ㄱㅁ질은 좀 그래 박탈감 느껴짐
-
??
-
으흐흐흐흐흐흐흐흐흐흐흐흐흫흐흐흐흐흐흐흐흐흐흐흐흐흐흐흐ㅡㅎ흐ㅡ흐흐흐흐흐흐흐흐흐ㅡㅎ흐ㅡ흐...
-
유일하게 하는 가챠겜이 니케인데 신캐 픽업캐 항상 30뽑이내로 뽑음 롤체 전설이도...
-
기만메타뭐임 1
뭐있지
-
기만하나할게 2
나 강연금 아직안봄
-
나도 ㄱㅁ해봄 4
그냥 집에가지마 베베
-
리젠 왤케 11
많은거야 베베
-
같이 연습해요
-
연대의대생보다 고대의대생이 처벌을 마니 받는 이유는? 4
고의라서 ㅋㅋㅋㅋㅋㅋㅋ
-
당장 기억 좀만 되짚어봐도 클럽 자랑 주구장창 올리다가 저격받고 ㅁㅌ 간 사진...
-
꾸짖을 갈❗️ 도로 썩 나가십시오 좋아요 이제 자기가 오토코노코다 싶은 분들만 쪽지 보내기 실시.
-
되나여?
-
참나무를 말하는거죠 그리고 그안에는 참나물 너무도 잘어울려요
-
10시간 정도 고민하면 괜찮은거 하나 나오지 않을까
-
재밋을거같아 근데
-
난 진짜 모르겠던디
-
ㄱㅁ 찐막 8
롤체에돈쓴적엄슴
-
나 이대로 수능 6
치지마 베베
-
기만할거 10
-
모두 감사합니다 15
따듯함을 느끼고 가요
-
ㄱㅁ함 5
대만 여행
이분이 제 수험생시절에도 활동하고 계셨으면 제 언어점수는 달라졌을 지도...
그때는 저자로만 활동했어요 ㅎㅎ
언어의 기술이 저 수험생활 끝나니 나오던... (그전에 나왔는데 제가 못봤을지도) 사실상 언어영역 때문에 삼수했었는데 결국 정복 실패했었죠...
킹해황....
갖고 있는 기출문제집을 펼쳐보셨나요? ㅎㅎ
저 전기추는 안풀었지만 검더텅이나 자이독서 살려고 하는데 어떤가요? 해설을 정확히 안봐놔서...
선생님 전기추2 교재는 언제쯤 살 수 있을까요?
(수강생이 아니라서...ㅎ)
출판 논의 중입니다. 일단은 갖고 있는 기출문제집 혹은 강의자료실에 있는 PDF를 출력해서 봐도 돼요.
하지만 이런 기출문제집이 뭔지 사기 전까진 알 수가 없군요....ㅠㅠ
제가 가진 책 중에는 없어서, 글을 올리면 제대로 해설한 기출문제집이 댓글이 달리길 기대하고 쓴 건데...
'3문단에서 이미 1810년대 프라운호퍼가 프리즘을 이용하여 태양빛의 스펙트럼을 얻었다고 했으므로 4번은 키르히호프의 업적이 아니다.' 이 해설은 괜찮은건가요..?
제가 써놓은 해설과 비교하여 스스로 충분히 판단할 수 있을 겁니다. :)
개별 기출문항을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나, 문항 숫자, 시험 시간이 달라서 '실모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물론 실전처럼 풀어보는 과정은 중요하나, 실전 모의고사용으로 쓸 수는 없습니다.
그럼요 :) 다만 94~12까지의 독서는 전기추1에서 다루니, 맛보기 강의라도 한번 살펴보세요 :)
뉴턴은 진짜 엄청난 역대급 천재인 듯...
영원히 기억될 이름이죠 ㅎㅎ
아..제가 산 기출문제집은 “프라운호퍼의 업적이다”라고 하네요.. 오르비에서 인지도 있는건데 실망스럽네요.. ㅠㅠ
대부분 해설서에서 그렇게 해설해요..
근데 이문제에만 그런것이 아니라 딴 문제들도 대충 해설한거 읽고 넘겼을까봐 두렵네요 ㅠㅠ
2013학년도 수능 23번(전기추2, 1강[무료])도 비교해보세요. 사실 어려운 문제를 정확하게 해설하는 게 더 중요한데, 이건 글로 쓰면 아무도 안 볼 것 같아서.. ㅎㅎ
마더텅...
잘못된 해설을 한 특정 기출문제집 이름을 거론할 필요는 없어요. 메시지 등을 통해 들어보니 다 틀리게 해설한 것 같더라고요..
저도 모 기출문제집 풀다가 저 선지 보면서 해설이 본문의 잘못된예시처럼 되어있길래 이상하다 싶었거든요. 그래서 다른 유명 강사분 조교한테 q&a 남기고 했는데 답변이 똑같아서 내가 잘못됐나 하고 넘어갔는데 ㅠ 이 글을 보니까 너무 반갑네요
이런 식으로 자잘하게 잘못된 해설이 시중에 많아서, 제가 전기추1, 2에서 모두 교정해나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