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vs 기출 어느쪽에 얼마나 비중을 둬야할까요?
게시글 주소: https://o.orbi.kr/0003029253
제곧내..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 1
도와줘 아
-
나 빵 샀어.. 9
배고파서.
-
빵 vs 농 3
ㄱㄱ
-
정상인이없네 3
어후
-
ㅈㄱㄴ
-
설인문 지균 394.9면 bb받아도 붙을까요?
-
ㅁㅇ 오랜만에 엔팁으로 다시 복귀했네뇨
-
그래서 페페도 점잖아졌어
-
3년만에 처음이네 3년 전에도 이해서 대학병원 가서 결국 괜찮다는 소견 받았는데...
-
아놔 ㅋㅋ 2
나 관독에서 자다가 사감이깨우는데 안일어났다고 여러번 경고받다가 퇴출당험ㅋㅋㅋㅋㅋ...
-
부족한 과목이 있으면 그거 단과 듣다가 가야함... 전 미적 약해서 강기원 머리...
-
06년생들 뭐냐 1
나 06인데 배런트럼프 보니까 하아.... 그리고 06중에 농구선수 유망주라는 애들...
-
합격발표 3일 남았네 16
3일동안 기절당하고 싶다
-
더 이상 그 결과를 바꿀 기회가 남아있지않을때 어짜피 바꿀수없는 겱과에 불만족해봐야...
-
행렬 공부하기 0
https://cafe.naver.com/pnmath/3799798 ㄱㄱ
-
베이스는 언미영물지 21242 과탐을 버리고 국수영을 판다고해서 유의미하게 바뀔지...
-
갓갓갓 빼면 시체인 몸~
-
노래추천 0
닉값 ㅋㅋ
-
강대n반에서 재수하고 수능ㄹㅇ처망함 올해 그냥 자습시간 확보하고 독재할 생각이었는데...
-
안녕하세요 영어 독해 하려하는데 단어가 넘 딸려요 그래서 독해도 잘 못하겠구 영단어...
-
전설의 식중독 제육볶음
-
능력이 없으면 만족할줄 아는 마인드라도 가져야하는데 둘다 없음 ㅁㅌㅊ?
-
그건 바로 우리 삼촌댁 강아지였고요
-
생1 실모 1
70회분 15만원이면 괜찮은거 맞죠..?
-
ㄹㅇ 만들어도 12~13번 정도밖에 못 만들겠음
-
커뮤에서 보기 힘든 잔잔함
-
담배피러나옴 0
얼어뒤지겟노
-
일찍일어나야함
-
진짜 뭐노
-
T여서 좋은점은 12
슬픈 일이 일어나지 않는한 우울하지가 않음 새벽감성 이런거
-
성공하더라도 잃는 게 생각보다 많음을 인지하고 시작해야함
-
시대 강대 0
시대 합격문자는 왔지만 수학 3이라 낮반 확정인데다가 사탐런 할거면 강대가 낫겠죠?...
-
서울대 cc 0
일반고 3점대에 선택과목이 과탐이였으면 설대 문과쓰면 보통 cc임?
-
사실 안힘든사람이 어디잇겟냐만은 너무 힘들엇서…
-
내꿈 고양이 키우기
-
얼버잠 10
얼리버드가 잠을 잔다는뜻 쿨쿨쿨
-
그것은오르비를시작한것. 극복실패함.
-
잘 자라고 해줘 15
-
사랑했던 시간 널 좋아했던그 많은 아픈 날을 걸었네
-
아맞다 ㅅㅂ 1
열시에 상지 나오는데 지금자도 한시에 일어나게 생겼네 걍세시에자야징
-
중대 반수ㄷ재수ㄷ전과 11
안녕하세요, 중앙대 문과에 합격한 학생입니다. 고3때 언미생지를 했었는데, 수학이랑...
-
?
-
내가 뭘 본거지
-
지금은 뉴분감(수1/수2/미적) 1회독 중이고 1회독 끝나면 시냅스 포함해서 2회독...
-
보통 강사 쉴드여론이 있을법한데 진짜 듣는 사람이 0이였음 이건 수업 시작하기도...
-
호감테스트 4
-
성적 떡상시키는 모습을 보고싶음
안녕하세요 오르비 외국어영역 4인4색 EBS실전적용편 저자 수바라기입니다 !
우선 태그를 언어에 다셨으니 언어부터 제 생각을 간단히 말씀드릴게요. 언어의 경우는 EBS가 연계되어서 출제된다고 해도, 비문학의 경우 익히 알듯이, 지문이 추가로 덧붙여지거나 지워지고 새로운 지문이 덧붙여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EBS 지문을 열심히 분석한다고 해서 큰 효과를 얻기 힘듭니다. 문학의 경우, EBS를 통해서 나오는 문학지문의 주된 심상, 주제, 요점정도는 정리하면서 풀어보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수능 시험장에서 '당황'하지 않고 문제를 안정감있게 풀 수 있다는 점입니다.
반면 기출문제의 경우, 우선 EBS에 비해서 직접 수능을 출제하는 '평가원'에서 출제했던 문제들이기에 풀이 과정에 있어서 EBS보다 명확하고 양질의 문제들로 구성되어있죠. 이런 기출 문제들을 얼마나 본인이 많이 사고하면서 푸느냐에 따라서 '언어적 능력'이 길러지는 것 같습니다.
잡소리가 조금 길었네요, 결론적으로는 언어에 한해서는 기출문제에 비중을 좀 더 두시고, EBS의 경우 자신이 없는 부분이 시 혹은 소설일 경우 지문들만 가볍게 살펴보고 문제도 한번 풀어보고 넘어가는 식으로 푸셔도 무방할 것입니다. 다만, 기출문제를 풀 때에는 좀 더 시간을 투자하셔서 오답까지 짚고 넘어가고, 정답도 근거를 찾아가면서 푸는 습관을 들이신다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중구난방으로 써봤는데 도움이 좀 되셧으면 좋겠네요 ^^; 열심히 하시고 좋은 결과 있으시기 바라고, 다른 질문이 있거나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댓글 달아주시거나 쪽지 보내주세요!
딱 제가 원했던 답글이네요 ㄳㄳ....근데 조금만 더 물어볼게요
기출문제를 보면서 '사고하면서'풀라고 하셨는데 정확히 어떤식으로 하는걸 의미하시는 건지 알고싶어요
그리고 기출분석은 어떻게 해야하는지도 알려주세요~
네네 도움이 좀 됬다니 다행이네요! '사고'하라는 의미는요, 별게 아닙니다 되게 거창해보이지만.. 답이 되는 근거, 그리고 오답이 왜 오답이 안되는지 꼭 한번씩 찾아보고 타당한 근거를 찾아가면서 문제를 좀 더 자세히 하나하나 풀어보라는 의미입니다!
기출분석의 경우는, 언어의 같은 경우 저는 '선지'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기, 주로 시가에서 어떤 것을 묻는가? '분위기'에 대해서 물을때 이런 심상에서 용어는 어떤 것에 대입시키는가 등등을 찾아가면서 풀어보는 방향으로 진행했습니다. 즉, 언어의 경우 뉘앙스의 차이가 굉장히 문제를 푸는데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기출을 통해서 평가원이 이런 분위기에서 묻는 뉘앙스는 무엇인가?이런 것들을 분석하기 위해 노력했고, 결과는 다행히도 좋았었습니다 ^^;
음 조금이나마 답변이 됬을까요 ㅜㅜ 조금 추상적인 면도 있지만, 공부를 이 방법으로 하시다보면 감이 올겁니다! 추후에 댓글이나 쪽지로 다시 문의하셔도 괜찮구요^^ 공부 열심히 하시고 좋은 원하시는 결과 잇으시길!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