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목고·자율고 탐방 ⑤ 한국외국어대부속용인외국어고
게시글 주소: https://o.orbi.kr/0001539516
특목고·자율고 탐방 ⑤ 한국외국어대부속용인외국어고
중앙일보 원문 기사전송 2011-08-02 01:49 최종수정 2011-08-02 12:50
학습계획서-체험·독서활동 통해 느낀 점을 구체적으로 밝혀라
[중앙일보 박정식 기자]
지난해 외국어고에서 자율고로 바뀐 한국외국어대부속용인외고는 자연계열 대학에 진학할 학생을 선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기존 외국어 중심 학과를 자연과학, 인문사회, 국제 등 3개 과정으로 지난해 개편했다. 인문사회와 유학 준비 중심이던 기존의 교육과정에 자연과학과정을 신설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교과 성적 반영에서 지원자가 선택할 수 있는 과목 3개중 수학 교과를 필수 선택으로 정했다. 박예솔(판교중 3)·정소희(수진중 3)양과 홍성준(성남성서중 3)군이 지난달 11일 한국외국어대부속용인외고 이대일 교사(입학관리부장)를 찾아, 신입생 선발전형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이 교사는 “당락을 좌우하는 학습계획서는 자신의 이야기를 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경험 뒤 느끼고 성장한 것을 써야
이 교사는 “지원자들의 학습계획서를 보면 대부분 표면적인 표현이나 내용이 많다”고 운을 뗐다. “‘(~을 경험한 뒤) 큰 영향을 받았다’가 아니라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율고로 바뀐 뒤 첫 시행한 지난해 자기주도학습 전형에서는 이 같은 학습계획서 내용을 어느 정도 용인했지만 올해는 구체적인 경험 내용에 잣대를 들이밀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수한 에세이의 표본이란 없다”며 “지원자들이 학습계획서를 전략적으로 쓸 것”을 당부했다.
“구체적인 영향이란 게 어떤 것인지 모르겠다”는 박양의 질문에 이 교사는 “수식어나 미사여구에 얽매이지 말고 자신이 겪은 이야기를 담으라”고 대답했다. 누구나 아는 뻔한 교훈이 아니라 자신의 변화를 쓰라는 설명이다. 예를 들어 봉사활동에 대해 쓸 때 ‘큰 영향을 받았다’가 아니라, 그 경험을 한 뒤 ‘내가 어떻게 성장했다’를 쓰는 것이다. 이 교사는 특히 지원자가 주체가 돼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활동한 경험을 담을 것을 주문했다. 지원자가 피동적으로 참여한 듯한 경험은 오히려 부정적인 인상을 심어준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봉사활동은 진학·진로와 꼭 연계시킬 필요는 없지만 체험활동은 가급적 진로와 연결된 활동을 적을 것을 권했다. 이는 독서 경험을 적는 항목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는 “책 내용을 쓸 필요는 없다”며 “책의 특징과 자신의 특징을 연결 지어 ‘난 ~을 경험해서 ~을 느꼈다’고 밝힐 것”을 요구했다.
독서 경험에서 동기와 재능 찾기도
수학교사가 되고 싶어하는 정양은 “용인외고를 지원하는 동기를 나의 진로와 어떻게 연결해야 할지 갈피를 못 잡겠다”고 하소연했다. 이 교사는 ‘왜 수학교사가 되려는지’ 그 이유부터 고민한 후 그 이유가 용인외고 교육과정의 어떤 특성과 연결 되는지를 찾아 연결해볼 것을 조언했다. 그를 연결 짓지 못하고 막연히 쓰면 지원동기가 부족해 보일 수 있다는 게 이 교사의 충고다. 정양이 “야간방범활동 때 본 경찰의 모습에서 수학교사로서 갖춰야 할 사명과 책임감을 배웠다”고 하자 이 교사는 “본인이 주체가 아닌 상황을 지켜본 객체에 불과한 데다 뻔한 교훈을 나열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야간방범활동이 수학교사와 관련성도 없고, 게다가 봉사가 아닌 체험활동에 해당하기 때문에 적절한 사례가 아니라며 고개를 저었다.
이 교사는 정양에게 독서 경험 항목에서 진로와 연결시켜 제시하는 법을 고민해볼 것을 제안했다. 교사의 삶을 다룬 책을 골라 읽고, 그 책 내용 중 수학교사가 되려는 동기를 심어준 부분을 적는 것이다. 그는 “학생들의 어떤 모습을 어떻게 포용하는 교사가 될지, 이를 위해 자신의 단점을 어떻게 보완하고 어떤 능력을 기르는 데 노력을 기울일지 등을 쓰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활동·경험 나열하지 말고 세밀하게 분석을
홍군은 학습계획서를 짜임새 있게 쓰는 법에 대해 궁금해했다. 이 교사는 “학습계획서도 보고서 못지 않게 체계적인 논리와 구성을 갖춰 써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첫 부분에서 입학담당관(혹은 입학전형위원)에게 강한 인상을 줬다면 그 효과를 끝까지 유지할 것”을 당부했다. 여러 활동 경험을 나열하기보다 한 가지 활동을 세밀하게 분석하는 게 한 방법이라는게 이 교사의 조언이다. 독서 경험 항목에서도 마찬가지다. 이 교사는 “책 속 주인공의 특성과 경험이 자신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생각해보라”며 “그러려면 자신의 이야기를 끊임없이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봉사활동 항목에 대해서는 봉사를 한 시간만 했더라도 지원자 자신이 주체가 돼 활동한 점을 쓰면 다양한 경험과 교훈, 구체적인 상황장면 등을 쓸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교사는 지난해 사례를 들면서 지원자들의 잘못된 습관도 지적했다. “자신을 돋보이게 하려고 수상실적을 적는 경우는 오히려 불이익을 받게 된다”며 “이는 전형 규칙은 물론 다른 지원자들과의 약속도 깨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학습계획서는 9~10월에 미리 쓰고 좋은 글이 되도록 퇴고를 반복하라는 당부도 잊지 않았다.
(이 문서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됩니다. 문서를 계속 읽기 위해서는 첨부된 링크를 클릭하십시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